본문 바로가기

지역 행동/기타 지역 연대

'음성군의회 모니터링 시민참가단' 관련 기사가 보도됐습니다~ 음성군 비영리단체협의회에서 주최한 '음성군의회 모니터링 시민참가단'의 모니터링 활동과 활동공유회 소식이 에 보도 됐습니다~~^^https://omn.kr/297rj 기사 링크입니다! 더보기
[비영리협의회] 음성군의회 모니터링 시민참가단이 발족했습니다! 지난 17일 음성노동인권센터가 함께 하는 음성군비영리단체협의회가 '음성군의회 모니터링 시민참가단'이 발족했습니다! 23명의 시민참가단은 오는 24일까지 음성군의회 모니터링 활동을 벌일 예정입니다.※ 음성군비영리단체협의회는 음성지역에서 공익활동을 벌이고 있는 비영리단체들의 모임입니다.함께하는 단체(24년 기준) 그루터기, 사회적협동조합 평화제작소, 소피아외국인센터, 음성군생활개선연합회, 음성군장애인가족지원센터, 음성군장애인부모연대, 음성노동인권센터, 음성민중연대, 음성장애인자립생활센터, 충북환경실천연합(이상 10개 단체) 더보기
환영!! 음성군 청소년 교통비 지원 환영!! 음성군 청소년 교통비 지원관심과 참여가 음성군을 더욱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듭니다!! 음성군이 『음성군 청소년 교통비 지원 조례』에 따라 청소년의 교통비 부담 경감 및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교통비 지원사업을 시작했습니다.이번 지원사업은 음성군 비영리단체협의회가 제안한 사업중의 하나로,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군수, 군의원 후보에게 2023년 7월 4일, 음성군청에서 열린 정책간담회에서 꾸준히 제안한 정책입니다.이중 청소년분야에서는 각 읍면별 청소년문화의집 운영과 교통비 지원 등을 제안했었습니다. 음성군에는 음성읍, 금왕읍, 대소면 세 군데 청소년문화의집이 있고, 나머지 6개 읍면에는 없습니다. 이에 음성군은 기존 청소년문화의집 규모는 아니더라도 읍면에 청소년 자유공간을.. 더보기
[비영리협의회] 이동권 모니터링 발표회와 강연회 후기 ▪ 2023년 11월 22일(수) 오후 2시, 대소도서관 3층. ▪ 주최/주관 음성군비영리단체협의회 ▪후원 충북시민사회지원센터 이동권 모니터링에 관한 발표회와 ‘자유로운 도시를 위한 이동권 어떻게 되찾을 것인가?’강연이 열렸습니다.음성군비영리단체협의회는 2022년에는 금왕읍, 2023년에는 대소면과 금왕읍을 방문해 공공시설인 읍사무소, 터미널, 학교 주변을 걸으며 보행환경, 횡단보도 및 신호체계, 버스정류장을 살펴보았습니다. “좁은 인도,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 걷기 힘든 대소면” 대소면은 전반적으로 인도는 있지만 좁았고(대소 도서관 앞), 경사가 가파랐으며, 상가 물건이 쌓여있거나 전봇대 등이 있어 보행이 불편했습니다. 버스정류장 역시 안내표시나 의자만 덩그러니 있어 이용자가 버스시간을 가늠하며 기.. 더보기
2023 제6회 한국비정규노동박람회 "변화와 도전" 참석(8/24. 안양시) 음성노동인권센터 활동가들이 2023년 제6회 한국비정규노동박람회 "변화와 도전"에 다녀왔습니다. 노동존중도시를 선언한 안양시와 선언을 이끈 안양시노동인권센터로부터 많은 감명을 받고 돌아왔습니다. 아래는 박람회에서 진행된 내용입니다. *제6회 한국비정규노동박람회가 지난 24일 안양시노동인권센터 등 전국 80여개 지방자치단체 산하 노동단체들이 모인 가운데 안양시청 대강당에서 개최되었다. 한국비정규노동박람회는 전국의 노동단체와 노동 분야 기관들이 격년마다 모여 노동정책 및 비정규노동 개선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는 행사다. 올해로 6회째를 맞은 이번 박람회는 한국비정규직노동단체네트워크(이하 한비네)와 전국지방자치단체노동센터협의회가 공동주최하고, 안양시노동인권센터와 경기도노동단체연대회의 공동주관으로 진행됐다.. 더보기
414기후정의파업 요구 기자회견에 다녀 왔습니다. 414기후정의파업 요구 기자회견에 다녀 왔습니다.사회공공성 강화를 통한 정의로운 전환 추진하라! 자본의 이윤 축적을 위한 생태파괴 개발사업 멈춰라! 분노와 절실함을 담아 외치고 왔습니다!회원님들~ 414기후정의파업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4.14 세종으로 함께 가실 회원분은 연락주세요~^^ 더보기
음성군 이동권 모니터링 발표회_음성군 비영리협의회(2022.11.30) 더보기
이태원참사 희생자 추모를 위한 시민분향소 더보기